본문 바로가기
이론

응력-변형률는 무엇인가?

by Z국대Z 2020. 12. 18.
반응형

▣ 응력-변형률 선도

   ▶인장시험을로부터 얻을 수 있는 기본적인 선도이며 하중과 변위와의 관계를 

      나타내는 하중 변위선도이다. 

응력-변형률 선도


   ▶ 탄성한계
       비례한도 전후애서 가했던 하중을 제거했을 때 변형이 없어지고 완전히 

       원상회복 되는 탄성변형의 최대응력을 말한다. 
    ▶ 탄성계수
        응력과 변형률의 비는 비례 한계 내에서는 일정하다. 이 일정한 관계를 

         Hooke의 법칙이라 한다. 이 법칙에서 비례상수에 해당하는 값을 탄성계수라 

         하며 응력 변형률 선도에서 비례한계 이내의 직선 부분의 기울기를 의민한다.
     ▶ 항복응력
         응력이 탄성한계를 지나면 곡선으로 되면서 응력이 증가하다가 하중을 

         증가시키지 않아도 변형이 갑자기 터지는 지점이 발생하는데 이를 상 항복점

         이라고 한다. 이때 금속 내부에 슬립으로 인하여 소성유동이 생겨 큰 내부 전위를 

         일으키면서 하 항복점이 잘생하는데 하 항복점을 지나면 영구변형은 더욱 증가한다. 

         일반적으로 항복점은 하 항복점을 의미하며, 이때의 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한다.
    ▶ 0.2% offset
         항복점이 확실치 않은 재료에서 0.2%의 영구 변형률을 가지는 점을 항복점 

         대신으로 생각하는데, 이것을 0.2% offset 항복응력이라고 한다. 일반적으로 연강 

         이외의 금속 재료들은 뚜렷한 항복점이 나타나지 않는다.
    ▶ 극한응력
        항복점을 지나면 경화현상이 일어나면서 다시 하중을 증가시켜야 변형이 증가하고 

        어느 일정한 하중이 지나면 시편에 국부적 수축현상이 나타나며 하중은 감소하면 

        변형은 증가한다. 시편에 가하여진 최대 하중을 원 단면적으로 나눈 값을 극한응력이라 한다.

반응형
LIST

'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래핑은 무엇인가?  (0) 2020.12.27
베럴(barrel) 가공 이란  (0) 2020.12.25
방전가공(electric discharge machining) 이란  (0) 2020.12.16
재료 역학의 기본용어  (0) 2020.12.14
자동차 연료 공급 시스템(Fule supply system)  (0) 2020.12.11

댓글